국내 상장 미국 기술주 ETF 3년 수익률 및 주가 흐름 정리

미국 기술주에 투자하고자 할 때,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면 환전이나 세금 신고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최근 3년간 미국 기술주는 AI, 반도체,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을 이어가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상장 미국 기술주 ETF들의 최근 3년 수익률과 주가 흐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
주요 ETF별 3년 수익률 비교 (2022.4 ~ 2025.3 기준)

ETF명추종 지수환헤지 여부최근 3년 수익률(추정)특징
TIGER 미국나스닥100 NASDAQ-100 비헤지 약 +45% 대표 기술주 지수 추종
KODEX 미국나스닥100 TR NASDAQ-100 Total Return 환헤지 약 +40% 배당 재투자형, 환율 변동 최소화
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(SOX) 비헤지 약 +65% 반도체 섹터 집중 투자
KODEX 미국FANG플러스(H) FANG+ Index 환헤지 약 +50% 메가테크 기업 집중 포트폴리오
HANARO 미국IT S&P 미국 정보기술 섹터 비헤지 약 +38% IT 섹터 분산 투자

※ 수익률은 추정치이며, 실제 수익률은 시장 상황과 환율 변동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
ETF별 주가 흐름 요약

  • TIGER 미국나스닥100: 2022년 하반기부터 반등세를 보이며 꾸준한 상승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  • KODEX 미국나스닥100 TR: 환헤지 효과로 환율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  •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: AI와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
  • KODEX 미국FANG플러스(H): 테슬라, 애플 등 메가테크 기업의 주가 회복에 따라 강한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
  • HANARO 미국IT: 대형 IT 기업 중심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

투자 시 고려할 점

  • 환헤지 여부: 환헤지형 ETF는 환율 변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, 장기적으로는 환차익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.
  • 섹터 집중도: 특정 섹터나 기업에 집중된 ETF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, 그만큼 변동성도 클 수 있습니다.
  • 투자 기간: 장기 투자 시에는 비헤지형 ETF를 통해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, 단기 투자 시에는 환헤지형 ETF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.

마무리하며

국내 상장 미국 기술주 ETF는 다양한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. 각 ETF의 특성과 수익률, 주가 흐름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
**최근 많이 하락한 기술주 하락으로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지금, 그래도 반드시 다시 오를 거라는 믿음으로 차트를 다시 보며 마음을 달래봅니다.(조금 다시 오르긴 했지만, 제 계좌는 다시 회복하려면 시간이 조금 걸릴것 같습니다...🥲)

+ Recent posts